카테고리 없음

우리나라 대통령 순서와 임기기간은?

학습플래너 이선생 2020. 1. 9. 11:44

우리나라는 광복 이후 남한의 단독정부가 수립되면서

대통령제를 시작하였습니다.

 

우리나라 대통령의 임기는 5년 입니다.

이 임기를 연장할 수 있을까요?

 

대한민국 법이 생겨난 개헌에는 가능했다고해요.

하지만 지금은 임기 연장이 불가능합니다.

 

대통령은 국가의 원수로 국민의 원수이기도 합니다.

 

국내법상 국가의 항구성과 통일성을 상징하는데

대한민국의 최고 통치권을 가지게 됩니다.

 

대통령은 행정각부와 정부조직권 장을 임명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국군통수권은 국방부가 행정부에 속해 있기에

행정부의 수반으로써 가지는 권한을 말합니다.

 

대통령은 국가의 독립, 영토의 보전의 의미가 있고

대한민국은 한반도의 통일의 책무를 가지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오늘의 목적인 우리나라 대통령의 순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대한민국 최초의 대통령 이승만>

임기 기간 1948 ~ 1960년

 

1대 대통령은 제헌 국회의원들에 의해 간접 선거로 선출이 되었고,

2~3대에서는 직접 선거로 선출이 되었습니다.

 

3.15 부정선거로 인해 국민들이 4.19혁명을 일으키면서

대통령의 자리에서 물러나게 됩니다.

<4대 대통형 윤보선>

임기 기간 1960년 8월 ~ 1962년 3월

비교적 짧은 기간을 통치했다.

 

4.19혁명으로 인해 이승만 대통령이 물러나게 되면서

민주당 후보로 대통형 선거에 출마

4대 대통령으로 선출이 되었다.

 

하지만. 5.16군사 정변으로 인해

1962년 권위가 많이 위축되고

 

자진 사임을 하면서 민정당을 창당하고

1963년 다시 한번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하지만

낙선을 하게 됩니다.

<5-9대 대통형 박정희>

1963년부터 1979년 7월

역대 대통령 중 가장 오랜 기간 집권한 인물입니다.

 

임기기간 중 많은 업적을 내세우긴 했지만

1979년 박정희 정부의 유신 체제에 대해

 

반대를 하는 부마사태가 절정으로 치닫는 시기

김재규 중앙 정보부장이 쏜 총을 맞고 서거했다.

 

박정희 대통령에 대한 이야기는 아직까지 많은

이슈가 되고 있는만큼 영향력이 있는 인물이라고 말할 수 있다.

<최규하>

임기 기간 1979년 12월 ~1980년 3월

최규하 대통령 또한 짧은 기간을 역임하게 된다.

 

박정희 대통령 서거 이후 국무총리였던 최규하 대통령이

10대 대통령으로 8개월간 임시 대통령으로 역임을 했다.

 

최초의 국무총리 출신의 대통령이란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짧은 기간에도 우여곡절이 많았는데 안으로는 하나회가 반란을

일으켜 군부의 실권을 장악하고

 

밖으로는 민주화 시위가 터지면서

재임기간동안 여러가지 수난을 겪은 대통령이다.

<11-12대 대통령 전두환>

1980년 9월 ~ 1988년 2월까지 2대에 걸쳐

역임하였다.

 

정치가이기 전에 군인이었던 그는

12.12 군사정변을 일으키는데 주도적인

인물이었고

 

힘으로 정원을 받으려 하였고

재임 기간 중 군부 독재라는 비판을 받았다.

 

또한 대통령 사임 이후 광주민주화운동, 12.12사태 비자금 등의

문제로 인해 사법처리를 받게 되었고

 

아직까지 그에 따른 뉴스는 식을 줄 모르는 기세이다.

<13대 대통령 노태우>

임기 기간은 1988년 2월 ~ 1993년 2월  

최초로 대통령 직선제에 선출된 인물이다.

 

대한민국 최초 북방 외교를 주장하면서

외교의 틀을 넓히기도 했고

6.29 선언으로 인해 대통령 직선제를 선택하여

민주주의 발전에 기여를 했다.

 

이전 대통령과 다르게 외교정책에 대해 적극적이며

특히 냉정 관계였던 북방 외교에 힘을 실어주게 된다.

 

전두환 대통령과 같이 5.18 민주화운동의 강제진압과

12.12 군사반란에 가담을 했습니다.

 

지금 현재 비자금 문제로 재판 후 구속이 되었다.

<14대 대통령 김영삼>

임기기간 1993년 2월 ~ 1998년 2월

 

김영삼 대통령은 거의 최초의 문민정부라고 부른다.

또한 지방자치세 확대와 공직자 재산 공개 등으로

부패 척결에 한 획을 그은 대통령이기도 하다.

 

만 26세 나이로 민의원선거에 출마하고

역대 최연소 국회의원이라는 타이틀을 가지고 있다.

 

민주주의 부패 척결에 힘을 쓰는 대통령이었지만,

IMF구제 금융이라고 하는 대한민국 초유의 사건으로

꽤나 힘든 시간을 보낸 대통령이기도 하다.

<15대 대통령 김대중> 

임기 기간은 1998년 2월 2일 ~ 2003년 2월

우리나라 최초의 노벨평화상 수상자이다.

 

IMF 경제 위기를 초기에 극복하고

남북 화해 등 화합의 정치를 이룬 대통령이다.

 

또한 1999년 아시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지도자 

1위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김대중 대통령의 외교 정책이 빛을 발휘한다.

당시 미국대통령 빌 클린턴과 함께 관계를 유지하면서

한일어업협정이 다시 체결되고 독도의 영유권을 다지기도 했다.

 

이런 상황에서 2002년 한일월드컵을 공동개최하였다.

 

햇볕 정책이라는 통일정책을 통해 지원과 협력을 하면서

대북포용정책을 실시했고, 개성공단 설빅과 남북정상회담 등을 추진했지만,

이 또한 일방적인 포용이라는 질타를 받고 있다.

<16대 대통령 노무현>

임기기간은 2003년 2월 ~ 2008년 2월이다.

인권 변호사 출신의 대통령.

 

1992년 14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를 하고

당시에는 낙선을 했으나 새천년 민주당 대통령 후보로

16대 대통령에 당선이 된다.

 

퇴임 후 고향 김해시에서 지역주민과 거주했으나

안타깝게 서거를 한다.

<17대 대통령 이명박>

임기기간 2008년 2월 ~ 2013년 2월

 

이명박 대통령은 1992년 현대건설 회장직을

그만두고 정치계에 입문 하면서 2002년 서울시장으로 당선

 

서울시장으로 지내면서 청계천복원사업, 서울시 대중교통 환승체계구축

서울숲 조성 등 경제 대통령이라는 슬로건으로

경제 살리기에 주력을 다했다.

<18대 대통령 박근혜>

임기기간은 2013년 2월 ~ 2017년 3월

5년 중 4년을 역임했다.

 

5-9대 대통령 박정희 대통령의 딸이자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대통령이다.

 

2017년 3월 헌법재판소에서 만장일치 탄핵이 

결정되면서 불명예스러운 파면을 당한다.

<19대 대통령 문재인>

2017년 5월 ~ 현재

 

박근혜 대통령의 탄핵으로 인해

생각보다 빠른 선거가 치뤄지면서

당선되었고 2017년 5월부터 임기가 시작되었고

현재 대통령직을 역임하고 있다.